만혁
11. 웹 서비스
요약
우리가 코드를 작성하는 WAS 에서는 디비 뿐만아니라 다양한 경로로
데이터를 불러오게되는데 그 중 하나가 또 다른 웹 서비스를 통해 데이터를 불러오는 작업이다.
이번 장에서는 DOP 에서 시스템의 내부를 구축할때 외부도 구축해야한다는 내용을 설명한다
json schema 는 ts 가 나오기전 js 의 타입을 지정하기위해 react, vue 에서도 종종 사용하던것이었는데 여기서 계속 보니 다들 불편했던건 똑같았나 보다
외부 서버에서 API 를 통해 데이터를 불러오게 되면 java 의 경우
해당 api 의 response 를 클래스 맵핑해줘야 내 비즈니스 로직에서 해당 값을 꺼내 사용할 수 있다.
하지만 수백개의 api 를 호출하게 되면 response 도 1대1로 계속 만들어줘야하는데 과연 효율적인 행동인지에 대해서
항상 고민이 들긴했다.
DOP 에서는 response 를 string 으로 받고 _.get()
같은 메소드로 필요한 특정 필드만 받아가도록 권장한다
response 객체를 만들지 않아서 간편하지만 해당 방법은 api 문서가 없다면 관리가 힘들것 같다는 생각도 든다
아무튼 데이터를 가져온 뒤에는 디비의 데이터와 외부 api 를 통해 가져온 데이터를 병합해서
사용하는 경우에대해서 이야기 하는데, 데이터를 병합해서 사용하다보면 충돌이 생길 수 있고
어떤식으로 해결하는지에 대한 내용이다 10장과 비슷한 내용이라고 느껴짐
결국엔 여러 범용 데이터 컬렉션에서 어떻게 데이터를 가공하느냐에 대한 내용인데
이는 lodash 같은 라이브러리와 좀 더 친숙해져야 하는거 같다